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odeEngn Basic 5
- 논문리뷰
- 자살론
- bob
- 코드엔진 basic 5
- h4ckinggame
- 코드엔진
- 사회적 사실
- malware
- Best of the Best
- 사회분업론
- 철학
- 디지털 포렌식 트랙
- BoB 12기
- 에밀 뒤르켐
- BoB 12기 최종합격 후기
- CodeEngn Basic 01
- 코드엔진 베이직
- CodeEngn
- codeengn basic rce 01
- 리버싱
- Today
- Total
SEO
[레드팀 인프라 구축] 구축에 사용되는 AWS 서비스들을 알아보자! 본문
오늘은 레드팀 인프라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AWS 서비스들을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저도 레드티밍을 공부하며 작성하는 글이라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바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EC2 (Elastic Compute Cloud)
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 서비스로, 레드팀 공간에서 그레이 공간에 속하는 서버들을 생성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이러한 EC2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 (Linux, Windows 등)
- 필요에 따른 빠른 서버 확장 및 축소 가능
-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 제공 (컴퓨팅 최적화, 메모리 최적화 등)
구축한 레드팀 공간에서 EC2를 C&C 서버의 트래픽을 송수신하기 위한 HTTP 리다이렉터 및 피싱 캠페인용 서버로 사용하였습니다. 이외에도 EC2 자체에 C&C 서버를 구축하거나 페이로드를 호스팅 하는 등 레드팀에서 다양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VPC (Virtual Private Cloud)
VPC는 AWS 클라우드 내에서 논리적으로 격리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합니다.
VPC의 주요 특징은 하단과 같습니다.
- 사용자 정의 IP 주소 범위 설정
- 서브넷 구성 및 라우팅 테이블 설정
- 보안 그룹 및 네트워크 ACL을 통한 접근 제어
인프라 격리를 통한 작전 보안을 강화할 수 있고, 다중 가용 영역을 활용한 이중화 구성이 가능합니다. 저는 VPC를 통해 서브넷을 설정하는 용도로만 사용했습니다.
Amazon Simple Email Service (SES)
SES는 AWS에서 제공하는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높은 전달률
- 상세한 전송 통계 제공
- DKIM 및 SPF 지원
피싱 메일 캠페인 수행 시에 사용할 수 있고, 대량 이메일 전송 및 전송 결과 추적과 분석이 가능합니다.
Route 53
Route 53은 AWS의 DNS(Domain Name System) 웹 서비스로, 도메인 관리에 필수적인 서비스입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글로벌 DNS 서비스
- 다양한 라우팅 정책 지원
- 도메인 등록 서비스 제공
해당 서비스를 활용하여 피싱 프레임워크 구축 시에 메일 발송용 도메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DDNS 구성, 도메인 프론팅 구현 등 레드팀에서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레드팀 인프라는 레드라쿤 유튜브 및 실험실 내용을 통해서 구축하였습니다.
https://tryhackme.com/r/room/grootredteamlab
TryHackMe | Cyber Security Training
TryHackMe is a free online platform for learning cyber security, using hands-on exercises and labs, all through your browser!
tryhackme.com
'Security > RedTe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드팀 인프라 작동 방식 및 Metasploit Framework (1) | 2024.12.18 |
---|